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즐겨찾기  l  시작페이지    l  2025.5.15 (목)
글씨크기 크게  글씨크기 작게  기사 메일전송  기사 출력  기사스크랩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http://www.changwonilbo.com/news/25868
발행일: 2011/06/20  엄지영 기자
`양파 저장` 위기 극복

올해 양파 수확이 시작되면서 과잉공급에 의한 가격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농가에 근심을 안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올해는 양파 수확이 시작되면서 가격하락 폭이 커 농가에 근심을 안기고 있다.
 

과잉공급에 의한 가격하락은 출하시기 조절이 어느 정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수확 후 바로 시장 출하보다 저장을 통해 유통량을 조절하는 것도 농업경영에 있어서 하나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는 양파 저장을 감안한 수확 요령과 수확 후 저장법 홍보를 통해 양파 가격하락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수확 후 저장을 하는 양파는 양파의 품종과 구의특성, 토양조건, 사용 비료, 병충해, 토양수분 등 수확 전 조건과 수확시기, 수확 시 온습도와 같은 외부 상태 등 수확 후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양파 수확 시기는 9월 이전에 출하할 경우에는 잎과 줄기가 100% 넘어갔을 때, 11월 이전에 출하하고자 할 때는 60~80% 도복됐을 때가 적당하며 더 오래 저장하려면 더욱 빠른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또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잎과 줄기가 넘어가도 아직 초록기가 남아있을 때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줄기를 자를 때도 줄기부위를 10~15cm 정도 남겨 두고 절단하는 것이 좋다.
 

다만 지상부가 완전히 말랐을 때 수확하면 병충해의 감염으로 인해 부패가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저장에 불리하다.
 

수확 시 양파 줄기의 절단으로 절단부위를 통한 수분손실이나 병원균 침입의 가능성이 크므로 양파의 수확은 맑은 날을 택해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확해 2~3일정도 밭에서 건조시킨 후 망에 담아 저장하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후작물 재배, 또는 기상조건이 맞지 않아 밭에서 건조시킬 수 없을 때는 수확해 망에 담은 양파를 간이 비가림 하우스에 쌓아 하우스의 일부만 환기시켜 고온에 1~2일 정도 건조시킨 후 완전히 환기시켜 저장하면 효과적이다.
 

/엄지영 기자


  l   회사소개   l   광고안내   l   구독신청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웹하드   l   메일   l  
Copyright (c) 창원일보(주) All rights reserved. 경남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3-7 1층
대표전화 055-212-0001 Fax: 055-266-0002 E-mail: 2120001@changwonilbo.com
기사 등 모든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제/복사/배포를 금합니다.
Powered by News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