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해 양파 수확이 시작되면서 과잉공급에 의한 가격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농가에 근심을 안길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
올해는 양파 수확이 시작되면서 가격하락 폭이 커 농가에 근심을 안기고 있다.
과잉공급에 의한 가격하락은 출하시기 조절이 어느 정도 문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수확 후 바로 시장 출하보다 저장을 통해 유통량을 조절하는 것도 농업경영에 있어서 하나의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양파연구소는 양파 저장을 감안한 수확 요령과 수확 후 저장법 홍보를 통해 양파 가격하락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을 실시하고 있다.
농업기술원에 따르면 수확 후 저장을 하는 양파는 양파의 품종과 구의특성, 토양조건, 사용 비료, 병충해, 토양수분 등 수확 전 조건과 수확시기, 수확 시 온습도와 같은 외부 상태 등 수확 후 조건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밝혔다.
양파 수확 시기는 9월 이전에 출하할 경우에는 잎과 줄기가 100% 넘어갔을 때, 11월 이전에 출하하고자 할 때는 60~80% 도복됐을 때가 적당하며 더 오래 저장하려면 더욱 빠른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좋다.
또 장기저장을 위해서는 잎과 줄기가 넘어가도 아직 초록기가 남아있을 때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줄기를 자를 때도 줄기부위를 10~15cm 정도 남겨 두고 절단하는 것이 좋다.
다만 지상부가 완전히 말랐을 때 수확하면 병충해의 감염으로 인해 부패가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저장에 불리하다.
수확 시 양파 줄기의 절단으로 절단부위를 통한 수분손실이나 병원균 침입의 가능성이 크므로 양파의 수확은 맑은 날을 택해 상처가 나지 않도록 수확해 2~3일정도 밭에서 건조시킨 후 망에 담아 저장하면 손실을 줄일 수 있다.
후작물 재배, 또는 기상조건이 맞지 않아 밭에서 건조시킬 수 없을 때는 수확해 망에 담은 양파를 간이 비가림 하우스에 쌓아 하우스의 일부만 환기시켜 고온에 1~2일 정도 건조시킨 후 완전히 환기시켜 저장하면 효과적이다.
/엄지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