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즐겨찾기  l  시작페이지    l  2025.8.14 (목)
글씨크기 크게  글씨크기 작게  기사 메일전송  기사 출력  기사스크랩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http://www.changwonilbo.com/news/314073
발행일: 2025/01/16  이호상 기자
"경남서 설날 추억 만드세요"
설 명절 가족과 함께 가면 좋은 경남 여행지 18개소 추천
전통ㆍ역사ㆍ정신ㆍ정취 있는 관광지, 설 명절 행사 등 소개

고성공룡박물관.

 

경남도는 민족 고유의 명절 설에 고향을 찾은 귀성객과 경남을 여행하는 관광객에게 전통과 문화를 느끼면서 온 가족이 함께 보낼 수 있는 추천 관광지 18곳을 소개했다.


온 가족과 함께 행복한 추억을 만들러 경남으로 떠나보자.


첫 번째, 경남의 역사를 배우고 아이들 학습에 좋은 5곳이다.


▲철기시대 창원 생활상 알아보자


성산패총(창원) 창원 지역의 철기시대 생활상을 살펴볼 수 있는 유적으로 창원의 역사를 조명할 많은 유적이 출토됐다. 특히 야철지가 발견돼 2천여년 전부터 철을 생산,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거제서 만나는 한국 근현대사


해금강테마박물관(거제) 잊혀가는 역사와 문화를 기억하고자 설립된 사립박물관으로, 일제강점기, 한국 전쟁기 등 한국 근현대사의 소중한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2층은 유경미술관으로 다양한 작가들의 테마별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곤충과 함께 동심의 세계로 돌아가 보자


의령곤충생태학습관(의령)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없는 다양한 곤충 표본과 살아있는 다양한 생물들을 전시하고 있다. 계절 변화에 따라 전시, 체험 행사를 다양하게 기획해 어린이들에게 자연에 대한 호기심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보고 느낄 수 있게 한다.


▲아라가야의 찬란한 역사속으로


함안박물관(함안) 국내에서 처음으로 출토된 말 갑옷을 비롯해 불꽃무늬 토기, 수레바퀴모양토기, 새 모양이 붙은 미늘쇠 등 가야 시대의 각종 유물이 전시돼 있어 아라가야의 역사와 우수한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공룡과 함께하는 태고의 신비


고성공룡박물관(고성) 우리나라에서 가장 쉽게 공룡의 흔적을 만날 수 있는 고성공룡박물관은 어린이들과 가족들이 공룡화석을 보다 흥미롭게 즐기면서 세계의 다양한 공룡들을 배울 수 있다.


두 번째, 우리민족의 정신과 고유한 정취가 깃든 5곳이다.


의령 K-기업가정신센터-전시실.

 

▲대한민국 기업가정신 수도


K-기업가정신센터(진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기업 삼성, LG, 효성 등 창업자의 모교인 옛 지수초등학교에서 문을 연 K-기업가정신센터는 진주에서 발현된 기업가정신의 가치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혼과 기가 어려있는 곳


삼도수군통제영(통영)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3도의 수군을 통솔하던 총사령부의 터로 임진왜란의 영웅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초대 통제사다. 목숨을 걸고 나라를 지킨 이순신 장군의 애국정신을 되새겨볼 수 있다.


▲고즈넉함과 웅장함의 조화


남계서원(함양)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남계서원은 소수서원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창건된 유서 깊은 서원이다. 경사의 지형 조건을 활용해 앞쪽은 강학 공간, 뒤쪽은 제향 공간이라는 전학후묘(前學後廟) 서원의 독창적 건축 배치형식의 기준을 마련했고, 이후 건립되는 서원들의 전형이 됐다.


산청 남사예담촌.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한옥마을


남사예담촌(산청) 고색창연한 담쟁이넝쿨과 토담, 수백 년 전통의 고가와 향길 그윽한 매화나무, 예절과 기상을 상징하는 부부회화나무 등 다양한 볼거리를 즐기면서 우리의 전통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휴양마을이다.


▲사계절의 정취 그윽하게 풍기는 곳


수승대(거창) 덕유산에서 발원한 맑은 물과 바위, 노송이 어우러져 자태를 뽐내는 거창의 대표적인 명승지로 자연경관이 뛰어나다. 겨울에는 눈썰매장에서 가족들과 짜릿한 즐거움을 함께할 수 있다.


세 번째, 다양한 볼거리, 즐길 거리, 먹을거리가 있는 체험ㆍ테마파크 4곳이다.


사천바다케이블카.

 

▲하늘과 바다 한 번에 품은 곳


사천바다케이블카(사천) 한려해상국립공원의 중심에 위치해 산~바다~섬을 잇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는 곳으로, 때때로 토종 돌고래인 `상괭이`도 만날 수 있다.


▲눈과 빛으로 만나는 겨울 가야


김해가야테마파크(김해) 우리 민족의 찬란한 유산인 가야의 역사를 배울 수 있는 김해가야테마파크에서 설 명절과 겨울을 맞아 `뱀띠 신년특집 2025년 기운 듬뿍 이벤트`가 진행 중이며, 겨울의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눈썰매장을 오는 2월까지 운영한다.


▲볼거리ㆍ즐길거리 가득한 복합문화공간


선샤인밀양테마파크(밀양) 6가지 시설로 구성된 복합문화테마파크이다. 요가ㆍ명상ㆍ스파 등을 즐길 수 있는 `요가컬처타운`, 반려동물의 천국 `반려동물지원센터`, 특산물을 활용한 쿠킹클래스 등을 운영하는 `농촌테마공원`, 로컬푸드를 판매하는 `파머스마켓`, 사계절 생태를 체함하는 `네이처에코리움`, 스포츠 체험과 관람을 동시에 즐기는 `스포츠파크`가 있다.


▲겨울 즐기는 짜릿한 스포츠


에덴밸리리조트 스키&썰매장(양산) 영남 알프스 설산에서 단계별로 슬로프를 따라 스키의 스릴과 스피드를 맛볼 수 있고 튜브를 이용해 눈썰매를 타며 가족,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


네 번째, 가족과 함께 휴식, 힐링할 수 있는 이색여행지 4곳이다.


창녕 부곡온천.

 

▲대한민국 1호 온천도시


부곡온천(창녕) 78℃의 수온과 유황 성분을 함유한 부곡온천은 피부노화 억제와 미용 효과가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1호 온천도시로 지정돼 우수한 온천자원을 인정받았다.


▲남해 바람 따라 흐르는 독일의 정취


독일마을(남해) 남해 독일마을은 파독 광부 간호사들이 은퇴 후 귀국해 정착한 마을이다. 전통 독일식 주택을 볼 수 있고 30여 집 정도가 민박을 운영하고 있다. 특색있는 인테리어와 서비스로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다.


하동편백자연휴양림.

 

▲푸릇푸릇한 겨울


하동편백자연휴양림(하동) 20여만 그루의 빽빽한 편백나무 숲에서 피톤치드와 청량한 공기를 마음껏 들이마시며 산림욕을 즐길 수 있고, 가족과 함께 여유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반려동물과 함께하는 명절


멍스테이(합천) 멍스테이(합천반려동물테마파크)는 카페, 편의시설, 반려동물 놀이도구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부지면적 7,535㎡의 놀이터는 다목적, 중ㆍ소형견, 대형견 그라운드로 분리돼 있어 반려견이 안전하게 뛰어놀 수 있다.


마지막으로 설 연휴 특별한 행사가 있는 곳을 소개한다.


국립진주박물관과 국립김해박물관에서 민속놀이, 전통문화공연, 특별전, 관람객이벤트가 진행되며 합천박물관과 대장경테마파크에서는 전통놀이 한마당이 펼쳐지는 등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관광정책과 관계자는 "설 명절을 맞아 많은 향우와 가족들이 경남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온 가족이 함께 경남만의 전통, 문화, 특색을 느낄 수 있는 관광지를 찾아 행복한 추억을 만들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남 가을철 추천 여행지와 가을 축제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경남관광길잡이 누리집(http://tour.gyeongnam.go.kr)과 경남축제 다모아누리집(https://festa.gyeongnam.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호상 기자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독자의견 (총 0건)
독자의견쓰기
* 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 등 목적에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글은 수정할 수 없으며 삭제만 가능합니다.
제    목         
이    름         
내    용    
    
비밀번호         
스팸방지            스팸글방지를 위해 빨간색 글자만 입력하세요!
    
  l   회사소개   l   광고안내   l   구독신청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웹하드   l   메일   l  
Copyright (c) 창원일보(주) All rights reserved. 경남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3-7 1층
대표전화 055-212-0001 Fax: 055-266-0002 E-mail: 2120001@changwonilbo.com
기사 등 모든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제/복사/배포를 금합니다.
Powered by News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