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 현실화되자 경남과 창원에서 추진하는 주요 사업과 현안에 영향이 있을지 주목된다.
<관련기사 1ㆍ4ㆍ7ㆍ12면>
경남도는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정부 지원이나 승인을 받는 주요 사업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대체로 별다른 영향은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가장 큰 현안인 항공ㆍ나노융합ㆍ해양플랜트 등 3개 국가산업단지 추진은 정상 궤도에 올랐다고 경남도는 판단했다.
2014년 말 정부가 3개 국가산단을 지정하고 나서 그동안 예비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농업진흥지역 해제 등의 절차를 밟아왔다.
올해 필요한 예산도 확보했고 정부 부처와 관련 절차를 충분히 협의해왔기 때문에 사업 지연 등 차질은 없을 것으로 전망했다.
실제 거제 사등면 일대에 추진되는 해양플랜트 국가산단은 지난달 공유수면매립이 승인돼 환경영향평가가 통과되면 사업이 본격 진행된다.
밀양시 부북면에 조성 중인 나노융합 국가산단도 환경영향평가가 끝나는 대로 보상절차에 들어간다.
나노 국가산단의 핵심 시설이 될 나노금형 상용화 지원센터는 지난 9일 착공했다.
항공 국가산단과 창원 국가산단 구조고도화, 항노화산업 등도 차근차근 진행 중이어서 대통령 탄핵 국면에서 별다른 차질은 없을 것으로 도는 전망했다.
도 관계자는 "경남 현안이 당장 차질을 빚을만한 현안은 없는 것으로 보인다"며 "대신 새 정부가 들어설 때까지 사업 추진 동력이 상실돼 남부내륙철도 등 대형사업은 다소 지체될 것으로 우려된다"고 말했다.
반면 창원광역시 승격 움직임에는 탄핵상황이 다소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창원시는 2014년 6월 지방선거에서 안상수 시장이 취임한 이후 차기 대선이 올해 12월 치러질 것이라 보고 `창원광역시 승격`을 여야 정당 대선공약에 넣는다는 전략을 세웠다.
지난해 11월 여야 의원 30명 발의로 `창원광역시 설치 법률안`을 국회에 제출하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헌정사상 처음으로 대통령이 파면되고 대선이 6∼7개월 가량 빨라지면서 `광역시` 여론을 전국에 알리고 정치권을 설득할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 됐다.
창원시 관계자는 "대선 시계가 앞당겨졌지만 정치권을 꾸준히 접촉하고 설득해 `창원광역시 승격`에 필요한 우호적 여론을 확산하고 정당별 대선공약에 포함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종민ㆍ김광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