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불모지’ 의령군이 2023학년도 대학 입학 수시전형에서 화려한 꽃을 피웠다. 올해 의령군 기숙형 공립학사 ‘행복학습관’ 고3 수험생 17명 중 수시 입학전형에서 15명이 합격의 명예를 안았는데 이들 대부분이 서울대 등 주요 우수대학에 진학해 지역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의령군은 인구 2만6천의 ‘초미니 자치단체’이자 관내 고등학교가 3개(일반고 2, 특성화고 1), 고3 학생 수가 100여명에 불과해 현실적으로 ‘교육도시’와는 동떨어져 있다.
반전의 시작은 2016년 의령군 장학회가 탄생하면서다. 의령군은 군수를 의령군 장학회 이사장으로 하고 교육 경쟁력 강화와 지역 인재 육성에 심혈을 기울였다. 현재 1천700명의 후원자가 의령군 장학회와 인연을 이어가고 있다.
반전의 역사는 2018년 ‘행복학습관’이 설립되면서다. 의령군장학회의 장학기금으로 운영되는 행복학습관은 매 학기 시험을 통해 선발된 중3~고3 학년별 20명 학생이 매일 방과 후에 학습관에서 숙식하며 입시를 준비하는 시스템이다.
서울대에 합격한 김강현(19) 군은 “선생님 실력은 의심할 필요가 없다. 교과목 외에 생기부, 면접 등 모든 것을 챙겨주신다”며 “인생상담, 동기부여 등 의지를 다지는 데 강한 힘이 됐다”고 말했다.
행복학습관의 시설과 복지에 대한 찬사도 이어졌다.
고려대 합격생 전지윤(19) 군은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자습실 장소제공 하나만으로 행복학습관은 너무나 좋았다”며 “학습관 편의시설은 물론이고 귀가 시 택시를 지원해주는 배려도 참 고마웠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기숙사 시설, 급식, 교통편의 제공 등 학습관이 제공하는 복지 서비스에 대해서도 한목소리로 칭찬했다.
특히 행복학습관 개원 이래 최대 쾌거는 학생들의 면학 열기와 진학 의지를 ‘밀고 당기기’한 관내 학교와 행복학습관의 손발 맞는 ‘공조’로 보는 시각이 많다.
의령군은 행복학습관이 관내 인구 증가에서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현재 의령고와 의령여고는 관내 학생 정원 미달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행복학습관의 ‘입소문’으로 지난해 25명의 학생이 유입되는 등 긍정적인 신호가 감지되자 군은 인구 증가의 가능성도 늘려나간다는 계획이다.
오태완 군수는 “좋은 인재는 좋은 의령을 만든다. 단지 성적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내실 있는 의령 교육을 완성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