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즐겨찾기  l  시작페이지    l  2025.5.29 (목)
글씨크기 크게  글씨크기 작게  기사 메일전송  기사 출력  기사스크랩 트위터 페이스북 미투데이
 http://www.changwonilbo.com/news/318940
발행일: 2025/05/08  창원일보
[김영국 칼럼]
어버이날, 자식들에게 고(告)함

객원논설위원ㆍ대가대 교수ㆍ색소폰니스트 지휘자ㆍ교육부ㆍ대한민국학술원 우수 저서(저자) 학술상ㆍ금연홍보대사
가정의 달 5월, 꽃집 앞에는 온갖 카네이션을 고르느라 분주한 이 땅의 자식들이 모여든다. 어린이날 다음에 어버이날은 오늘처럼 다가온다. 논두렁처럼 굽은 허리춤과 억센 말발굽 같은 손으로 묶던 어머니의 온갖 보따리, 한평생 나무 심는 마음으로 통 말씀이 없으신 백세(百歲)로 가는 아버지를 잠시 떠올리며 필자는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한마디 전하려 애쓴다. 그러나 그것만으로 감사와 정(情)의 표현이 충분할까?


요즘 세대 자식들의 효도는 점점 세월처럼 `스마트`해지고 단순해지고 있다. 스마트폰 속 짧은 영상 편지, 계좌로 송금한 용돈, 식당과 효도 공연 예약 알림. 여행 티켓 등등. 정성보다 `편의`가 앞서고, 감정보다 `형식`이 남는다. 부모들은 말한다. "바쁘니 이렇게라도 챙기는 게 어디냐"고. 과연 그럴까? 바쁘지 않은 인생이 어디 있던가. 이 세상의 진심은 늘 시간을 뚫고 나오기 때문이다.


돌아보면 부모는 늘 `주는 자`였고, 자식은 늘 `받는 자` 였다. 자식 낳고, 키우고, 먹이고, 울음을 달래주던 부모는 늘 한없이 무조건으로 오롯이 주기만 했다. 무릎 위에 앉혀 먹이고 잠재웠던 자식들. 부모 손 잡고 요양병원 가던 자식, 입관(入棺)하던 때. 자식들 손이 언제부터 그렇게 떨리고 굳었을까? 어버이날 하루, 자식들은 종종 `부모를 기쁘게 하는 날`이라 착각한다. 하지만 정작 그날이 부모에게는 `마음이 가장 아픈 날`이 되기도 한다.


전화 한 통에 담긴 미안함, 오랜만에 들린 발걸음의 어색함, 혹은 아예 아무런 연락도 없는 적막함. 그럴 바엔 차라리 평범한 월요일이 낫다고 말하는 부모도 있을 정도다. 효도는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다. `1년에 하루` 꽃으로 퉁칠수 있는 가족관계였다면,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지도 못했을 것이다. 효도는 사랑의 기억이고 진심의 태도다. 젖은 머리를 닦아주던 손, 이유 없이 자식을 한없이 믿어주던 눈빛을 잊지 않는게 부모의 마음이다.


금방 시들어버리는 카네이션 한 송이보다, "이제는 걱정 마시고, 여생(餘生)을 건강하게 마음껏 즐기세요"라는 말이 오히려 구들장의 아랫목처럼 부모의 마음을 더 오랫동안 따뜻하게 하지 않을까? 가끔은 이렇게도 말해보자. "어머니, 그때 왜 그렇게 우셨어요?" "아버지, 그때 나 때문에 속상하셨죠?"처럼 기억 속 서로의 상처를 꺼내 진심으로 물어주는 그 한마디가, 오히려 부모에게는 오래 묻어두었던 속마음을 꺼낼 용기를 준다.


`나도 너희들처럼 철없던 시절이 있었다`고. 그러면 자식도 알게 된다. 부모는 완벽한 존재가 아니라, 다만 늘 자식을 위해 최선을 다한 사람이었음을. 시간은 생각보다 빠르다. 부모는 자식을 기다려주지 않는다. 한 해, 한 달, 하루가 다르게 약해지고, 작아진다. 목소리와 지갑은 갈수록 얇아지고, 눈은 흐려지고, 기억과 걸음은 점점 느려진다. 그리고 어느 순간, `효도하고 싶을 때 이미 부모는 없다`는 말이 현실이 된다.


그러니 이 땅의 자식들이여, 어버이날 하루쯤은 `나`를 위한 날로 삼자. 금방 시들어지는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기 전에 부모의 손을 꼭 잡고, 이 시대 말라가는 정(情)의 샘에 따뜻한 말부터 한 아름 부어드리자. "고맙습니다"보다 더 절절한 "미안해요" 한마디를. 그 한마디가, 부모의 남은 삶을 얼마나 환하게 비출지 모른다. 그것이 자식의 도리이자, 나중에 너희들의 아이들에게도 보여줄 수 있는 진짜 `어버이날의 유산`이요, 값진 교훈이 아닐까?


부모들은 자식을 위해 한평생 나무 심는 자들이요, 자식들은 과일을 따 먹는 놈들이 아닐까? 나이 든 부모를 깊은 산속에 버리던 고려장(高麗葬) 가던 길에 지게 위의 어머니는 자식 몰래 솔잎을 따 뒷길로 뿌렸다. 혹여 집으로 돌아가는 자식이 길을 잃을까? 저승길 가면서도 오롯이 자식 걱정뿐. 부모의 마음이다. 어버이날. 오늘만큼은 큰소리로 외치고 싶다. "이 땅의 자식들아! 너희들은 늙어봤나? 부모들은 젊어봤단다!"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독자의견 (총 0건)
독자의견쓰기
* 광고·인신공격·비방·욕설·음담패설 등 목적에 맞지않는 글은 예고없이 삭제될 수 있습니다.
* 등록된 글은 수정할 수 없으며 삭제만 가능합니다.
제    목         
이    름         
내    용    
    
비밀번호         
스팸방지            스팸글방지를 위해 빨간색 글자만 입력하세요!
    
  l   회사소개   l   광고안내   l   구독신청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웹하드   l   메일   l  
Copyright (c) 창원일보(주) All rights reserved. 경남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3-7 1층
대표전화 055-212-0001 Fax: 055-266-0002 E-mail: 2120001@changwonilbo.com
기사 등 모든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제/복사/배포를 금합니다.
Powered by Newsbui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