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3일 오후 한 주유소의 유가정보판에 휘발유가격이 1,497원으로 표시돼 있다. |
국내 주유소 휘발유 평균값이 5년7개월 만에 ℓ당 1,500원대에 진입했다.
지난달 말 석유수출국기구(OPEC) 회원국들이 산유량 동결 결정을 발표한 뒤 국제 유가가 폭락하면서 한 달만에 100원 넘게 내린 셈이다.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29일 오전 9시 기준 전국 보통 휘발유 평균 가격은 ℓ당 1,599.95원으로 집계됐다.
ℓ당 1,500원대의 판매가는 2009년 5월 1,542원 이후 처음이다.
지난 2009년 6월 휘발유 값은 평균 1,607원으로 뛰었고, 그동안 1,600원 아래로 내려온 적이 없었다.
지난 1997년 외환위기 전 700~800원대였던 휘발유 값은 지난 1998년 1,100원대로 껑충 올랐고 2005년 1,400원대, 지난 2010년 1,700원대 등 상승세를 이어가더니 지난 2012년 4월에는 2,58원으로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지난해 평균 1,900원대에 팔렸던 휘발유 값은 올해 1월 1,800원대에서 시작해 지난 10월1일 1,700원대, 지난 3일 1,600원대로 내려오더니 한 달도 안 돼 1,500원대가 됐다.
지난달 27일(현지시간) OPEC 회원국들이 산유량 감산 불가 결정을 내리고 나서 수요대비 공급 우위 상황이 형성되면서 두바이유 가격이 올해 초 배럴당 104달러에서 이달 중순 60달러 밑으로 떨어졌기 때문이다.
국내 휘발유 평균값도 지난 11월28일 ℓ당 1,711.74원에서 이날 1,599.95원으로 111원이 떨어졌다.
현재 충북 음성의 상평주유소가 ℓ당 1,385원으로 2주일째 전국 최저가로 팔고 있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1,200원대 주유소나 1,365원에 판매한다는 주유소는 모두 입력 오류로 확인됐다.
1,400원대 주유소는 서울 20여곳을 포함해 전국에 500곳을 넘었다.
서울 지역 휘발유 평균값은 1,680.68원, 서울의 최저가는 1,477원이다.
한국석유공사는 "국제유가가 지난주 미국 경기지표 개선, 리비아 일부 지역 석유생산 차질 등으로 일시적인 보합세를 보였으나, 그동안의 하락분이 시차를 두고 국내에 반영되는 중이어서 앞으로 국내 석유제품 가격은 추가 하락 압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성혜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