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럽에서도 특이한 `춤보리수`. |
고목과 얽힌 얘기는 어느 나라든지 많다. 한국도 마찬가지 아니겠는가. 예를 들면 정승 소나무라든지, 청도 운문사에 있는 막걸리를 마시는 고목이라든지….
독일에도 고목들과 얽힌 얘기들이 많다. 먼저 그 모양이 유럽에서도 아주 특이한 `탄츠린데`인데 번역하면 `춤보리수`다. 추측 연도가 다양하기에 정확한 나이 가늠이 힘들지만 최근에 밝혀진 것에 따르면 대략 800-1,000년전 고목으로 간주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이 춤보리수 고목에 얽힌 얘기들이다. 이 고목 위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땅에서부터 시작하는 22개의 돌계단을 밟고 올라가야 한다. 떡 벌어진 무성한 잎 속의 나무 둥치 위에는 87m²나 되는 푸른 공간이 있다. 이곳은 휘영청 밝은 달밤이나 추수감사절, 결혼식, 견진성사, 음악과 노래가 곁들인 축제 때 사람들이 늘 만나는 장소였다.
1800년초에 주둔했던 프랑스 군인들이 이 나무 위에 모여서 회의하곤 했다고도 하고, 한 유명한 귀족 가족이 이 고목이 있는 도시의 성에 왔다가 이 `춤보리수` 나무 위에서 그의 수행원들과 함께 자주 식사도 하고 회의도 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 나무 위에서 음악회, 연극 등 주민 축제가 열리고 있는데 어느 날은 90명이 모인 적도 있고, 미사를 드린 적도 있단다.
또 다른 얘기는 또한 오랜 역사를 지닌 `에데기날 보리수`다. 독일 남부 지방의 국립 박물관에는 `에디기나와 에데기날 보리수 나무`에 얽힌 전설(?)을 그린 그림이 소장돼 있다. 1074년 프랑스의 하인리히 1세의 딸 에디기나가 부모가 정해준 결혼을 피해 궁정에서 도망쳐 이 마을에 정착해 이 보리수 나무에서 살았다고 한다. 그녀는 은수자처럼 살면서 가난한 이들을 돌보고,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이에게는 인생상담과 기도도 해줬을 뿐만 아니라 아픈 이에게는 약용식물로 처방한 약을 가지고 고쳐 주기도 했다. 35년간 보리수 아래서 살았던 그녀가 1109년 2월 26일 죽었다. 정확한 날짜 명시까지 하는 걸 보면 어쩜 전설이 아닌 실제의 여인 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녀가 죽은 후 그녀의 뼈를 근교 성당에 간직했다가 후에 주민들이 그 부근에 그녀를 기념하는 조그마한 경당을 지었다. 1995년 2월 850주년 기념일에 약 50명의 주민들이 에디기아의 인생을 연극에 올렸고, 이 연극을 계기로 10년을 주기로 주민잔치 겸 정기공연이 열린다. 주술적 요소뿐만 아니라 다른 한편으로는 이 고목이 주민들에게 늘 신선한 산소와 시원한 그늘을 제공하는 고마움을 잊지 않는다.
인류 문화사에도 잘 나타나듯 고목은 주로 종교와의 연관성이 많다. 이 지역 주민들도 이 고목이 하늘과 땅을 연결한다고 생각했기에 에데기날 보리수 고목의 영험을 믿었다. 유럽도 기독교의 전래 이후로는 이런 생각들은 미신으로 간주되면서 수많은 고목들이 그런 전설과 함께 잘려나갔지만 유럽인들이 옛 사고가 잘려진 나무처럼 떨어져 나가버린 게 아니었고, 대물림 한 삶 속에 늘 깔려 있었다.
요즘 유럽은 그들의 고유 종교에 예를 들면 `비카종교` 등등에 다시 지대한 관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동양불교에 대해서도 끝없는 관심을 기울인다. 왜 우리나라도 기독교가 들어 올 때 우리 토속종교들은 없어져야 할 그 무엇으로 간주됐지만 지금은 다시 우리종교에 대한 것이 살아나는 것과 유사한 상황이라고나 할까.
사람은 100년을 다 채 못 채우고 살다 어디론가로 떠났고, 우리도 언젠가 떠난다. 그 반면에 수백년 전부터 살았던 이 고목들은 먼저 간 이들의 희로애락을 다 듣고서는 부둥켜안고 있을지도 모르고, 이 나무들이 벙어리가 아니었다면 먼저 간 인간들의 사연을 줄줄 풀어 헤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아니면 우리가 고목의 언어를 알아들을 수 없든지. 고목들은 희로애락이 뒤섞여 살다 갔을 인간들의 얘기를 어디다 다 갈무리 했을까.
한국에서 실제 있었던 얘기다. 경상북도 어느 지방에서 도로 확장을 하다 보니 고목 하나가 문제였다. 이 고목을 베어야만 확장 공사가 계속 진행될 판인데 아무도 그 나무를 베려고 하지 않았다. 그 나무를 베는 사람은 반드시 죽게 된다는 전설 때문이었다. 아무리 도로 닦는 노동자들이라 하지만 다 살려고 노동일을 하는데 목숨을 내어 놓고 그 나무를 누가 베겠는가. 그렇지 않아도 그 고목이 어찌됐을까 궁금하던 차에 몇 년 전 필자가 그 도로를 지나가게 됐다. 세상에! 도로 중간에 그 고목이 턱 버티고 서 있었다. 어찌 반갑던지. 도로확장 공사 때 그 나무를 살려둔 것이다. 그 전설이 진짜든 가짜든 고목을 그대로 살려두고 낸 도로 운치가 너무 좋았다.
우리는 이렇게 늘 자연과 문화재를 먼저 생각하고 그 다음 편안함을 생각해야 하지 않을까. 이런 의미에서 독일의 말 못하는 보리수나무, 떡갈나무와 말할 줄 아는 인간들이 세대와 세대를 이어가면서 나누는 우정이 아름답기만 하다.
/양태자 (비교종교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