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l  로그인  l  회원가입  l  아이디/비밀번호찾기  l  즐겨찾기  l  시작페이지    l  2025.7.30 (수)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미래를 향한 기상청의 진영 재정비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미래를 향한 기상청의 진영 재정비

스티브 잡스는 미래의 음악은 전자매체로 거래되고, 기술은 소프트웨어가 중요해지며, 제품은 다양한 산업이 융합해야 살아남을 수 있음을 간파했다. 그는 그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활용한 혁신적인 제품으로 세계인의 마음을 얻었다. 창원일보 (02/24)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기후자원이 빚어내는 지역 명품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기후자원이 빚어내는 지역 명품

겨울철에 눈이 많이 내리는 일본 북부지방에서는 겨울이 다 지나갈 때까지 햇볕을 제대로 구경하기 힘든 곳이 많다. 시베리아를 출발해 동해바다를 거쳐 홋카이도에 도착한 겨울바람은 사람과 동물들에겐 혹독하기 짝이 없다. 창원일보 (01/13)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아시아대륙 동쪽은 폭발성저기압 위험지대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아시아대륙 동쪽은 폭발성저기압 위험지대

지구표면은 태양으로부터 받는 열량의 차이로 공기의 밀도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공기 밀도의 차이로 고기압 지역과 저기압 지역이 나타난다. 저기압 내에서는 주위보다 기압이 낮아 사방으로부터 바람이 불어 들어오고, 중심 부.. 창원일보 (12/30)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경제예측과 기상청 날씨예보에 거는 기대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경제예측과 기상청 날씨예보에 거는 기대

신문 기사에 `예보`라는 글자가 있으면 금방 눈길이 간다. 엊그제는 한 지방지에 `KMI 예보 틀려도 너무 틀려`라는 제목의 기사가 달렸다. 예보가 틀린다는 표현에 깜짝 놀라긴 했지만 기상청 예보를 칭하는 제목이 아니라서 한편으로는 다행이었다.. 창원일보 (12/16)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기상청 예보, 유통기한 있나?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기상청 예보, 유통기한 있나?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이 지난 우유, 소시지를 발견했을 때 버리자니 아깝고, 먹자니 배탈이 날 것 같다. 과거 일본에서 저녁마다 영업 마감 때쯤에 작은 트럭이 와서 빵을 수거해 가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창원일보 (11/25)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기상예보와 복합 화력발전 공급용량 산정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기상예보와 복합 화력발전 공급용량 산정

11월 22일은 24절기 중 하나인 `소설`이다. 이맘때가 되면 남부지방에도 기온이 내려가 저절로 두꺼운 겉옷을 찾게 된다. 창원일보 (11/18)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내일 날씨 정도는 대답해 줄 수 있는 아빠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내일 날씨 정도는 대답해 줄 수 있는 아빠

파란 하늘이 아름다운 가을이다. 가을비가 갠 다음 날에는 공기가 더욱 상쾌하다. 예전에 우리선생님들께서는 우리나라의 자랑거리로 비단에 수를 놓은 듯 아름다운 삼천리금수강산을 먼저 꼽았고, 다음으로 높고 푸른 가을하늘을 꼽았다. 창원일보 (11/11)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가을이 깊어지면 해안가에선 낙뢰 주의해야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가을이 깊어지면 해안가에선 낙뢰 주의해야

오랫동안 바다를 생업의 터전으로 생활한 어느 동해 바닷가 어부로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가을이 깊어지면 바다에 천둥ㆍ번개가 많아지고 세 진다" 경험적으로 여름이 아닌 가을, 겨울에도 뇌전을 자주 접한다는 이야기이며 대략 10월쯤부터 증.. 창원일보 (11/04)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TV 속 기상예보, 기상캐스터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TV 속 기상예보, 기상캐스터

기상청에 견학 오는 학생들에게 `기상캐스터` 체험 코너의 인기가 높은 편이다. 지금은 기상캐스터라는 용어에 익숙해졌지만 20~30년 전에는 `기상통보관(김동완)`이라는 용어가 국민들에게 더 친숙했다. 창원일보 (09/24)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BR>디지털 기상전용방송 추진으로 앞서가는 기상청
[조진대의 기상 이야기]
디지털 기상전용방송 추진으로 앞서가는 기상청

디지털 방송은 1998년 영국 BBC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됐다. 미국에서는 그해 11월 10여 개 도시에서 시범 서비스했고, 독일에서는 2003년에 시작됐다. 창원일보 (08/19)

처음이전 10쪽123다음 10쪽마지막

  l   회사소개   l   광고안내   l   구독신청   l   기사제보   l   개인정보보호정책   l   웹하드   l   메일   l  
Copyright (c) 창원일보(주) All rights reserved. 경남 창원시 성산구 비음로 3-7 1층
대표전화 055-212-0001 Fax: 055-266-0002 E-mail: 2120001@changwonilbo.com
기사 등 모든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제/복사/배포를 금합니다.
Powered by Newsbuilder